[수원광교박물관] 야외전시
top

광교수원박물관-전시안내 탭

  • 조선시대 돌방무덤 朝鮮時代 石室墓

    옛 재활용사업소 인근(상현동)에서 조사된 신석기시대 집터의 일부를 파괴하고 후대에 만들어진 조선시대 돌방무덤이다. 무덤을 만들기 위한 구덩이는 북측의 짧은 벽을 기준으로 깊이 250cm 정도로 매우 깊었으며 위는 좁고 판석이 쌓여지는 부분부터는 넓어져 복주머니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무덤 안에서는 청동숟가락, 구슬, 널의 판재를 고정시키는데 쓰였던 못 등이 출토되었다.

  • 추정 고인돌 推定 支石墓

    이의동 작은 안골 마을 논 가운데에 있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상석에는 신앙 또는 농경을 위한 별자리 흔적으로 알려진 성혈(性穴 또는 星穴) 여러 개가 확인되었지만 상석 아래의 매장시설은 확인되지 않았다. 상석의 아랫부분을 조사한 결과 20~40cm 크기의 깬 돌들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둘러져 있었고, 그 안에는 10~20cm 크기의 깬 돌들이 점토와 함께 무질서하게 채워져 있었으나 관련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 추정 고인돌 推定 支石墓

    이의동 뒷골 마을 언덕 경사면에 있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상석에는 여러 개의 성혈이 보이고 있어 아랫부분이 없어진 상석일 가능성은 있으나 상석 아래의 매장시설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 통일신라시대 돌덧널무덤 統一新羅時代 石槨墓

    돌덧널무덤은 지하에 깊이 구덩이를 파고 자연 판석이나 자갈돌을 쌓아 직사각형의 덧널을 짠 무덤이다. 여기에 시신을 직접 묻거나 목관에 넣어 매장하기도 한다. 이 무덤은 광교신도시 개발과정에서 이의동에서 조사된 것으로 수원지역의 통일신라시대 매장 방식과 출토유물을 통해 무덤의 축조 연대를 파악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무덤 안에서는 연한 황색의 단지와 흑회색의 완이 함께 출토되었다.

  • 통일신라시대 돌방무덤 統一新羅時代 石室墓

    돌방무덤은 넓적한 판석을 쌓아 나들이를 위한 널길(羨道)과 주검이 안치되는 널방(玄室)을 만든 무덤으로 석실분(石室墳)·석실묘(石室墓)라고도 한다. 이 무덤은 광교신도시 개발과정에서 이의동에서 조사된 것이다. 무덤 안에서는 숫돌, 널의 판재를 고정시키는데 쓰였던 못과 허리띠의 겉에 다는 금속 장신구 등이 출토되었다.

  • 심온선생묘

    심온沈溫(1375~1418)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세종대왕의 장인입니다.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청천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영의정에 임명되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갔다가 귀국할 때 옥사라 일어나 수원에서 사사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그가 왕비의 아버지로서 세력이 커짐을 염려한 태종과 좌의정 박은朴訔(1370~1422)의 무고로 밝혀져 후에 문종은 관직을 복위시키고 안효安孝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 혜령군묘

    혜령군惠寧君 이지李沚(1407~1440)는 조선 태종의 아홉 번째 왕자이자 세종의 이복동생으로 1438년(세종 20년) 주청사奏請使로 파견되어 여러 문제를 원만히 처리해 세종의 신임을 받았으나 34세의 젊은 나이로 타계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전화번호
031-228-4172
담당부서
수원광교박물관팀